저작자 : 강기봉 freekgb@gmail.com
딥시크의 보안 우려로 인한 사용자의 감소는 몇 가지 시사하는 바가 있다.
1. 기술 윤리
유용한 기술이라도 윤리적으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성공적으로 사용자층을 확보하기 어렵고 발전에 장애가 된다.
2. 안보 및 보안
기술은 때때로 안보 및 보안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고 공공기관과 기업들은 이러한 문제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 기술 및 산업 발전을 저해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법제도적인 안전장치가 필요해 보인다.
3. 인터넷과 컴퓨팅 기술에 대한 신뢰성
딥스크와 같은 우려가 계속된다면 인터넷 및 컴퓨팅 기술이나 이와 관련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어 관련 시장이 전반적으로 발전의 장애 또는 침체를 겪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딥시크에서 촉발한 사회적 충격으로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1. 오픈소스에 의한 기술공유
딥시크는 오픈소스라는 점에서 전세계의 모든 개발자들이 기술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세계적인 폭발적인 관심과 함께 다양한 평가와 피드백이 이뤄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딥시크 자체의 기술 향상 뿐만 아니라 인공지능 기술이 전반적으로 업그레이드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 국내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
인공지능에 관한 기초연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와 관련한 투자를 위한 요인 내지는 동력이 마련되었다. 소프트웨어는 국가 안보나 보안과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은 충분한 검증을 거쳐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야 할 것이다. 특히 인공지능은 상당한 부분에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동화된 프로세스를 지향하므로 더욱 그러하다. 한편, 이런 측면에서 인공지능 플랫폼의 국산화도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각인된 부분도 있다. 자체 개발을 하는 것이 좋겠지만, 이것이 어렵더라도 데이터가 해외로 유출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는 국산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국내의 인공지능에 관한 기초연구에 대한 투자가 좀더 확대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겼다.
3. 시장 확대
딥시크로 인한 전세계의 관심은 기술 개발의 속도를 높이면서 인공지능의 활용에 대한 수요도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시장의 확대를 의미한다. ChatGPT 최고경영자의 방한은 딥시크에 대한 견제이기도 하겠지만 한국 시장을 확보하여 게임과 같이 테스트 베드로서 또는 적극적인 시장으로서 가능성에서 자사의 시장을 확대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기회에 네이버와 같은 국내 인공지능 플랫폼 기업들이 자사의 기술을 홍보하고 있는 점도 위와 같은 맥락일 수 있다.
* 관련 기사 : 박종진 기자, 딥시크 보안 우려에 사용자 반토막…챗GPT는 상승세, 전자신문, 2025.02.09. 자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30/0003282203
'SW와 과학기술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OpenAI 2024년 등록특허 전수조사 및 분석(파이특허법률사무소) (0) | 2025.02.06 |
---|---|
[스크랩] 외교·산업부, 딥시크 접속 차단(매일경제) (0) | 2025.02.05 |
[스크랩] 샘 올트먼 “핵 처럼 국제기구 설립해 AI안전성 감시해야”(매일경제) (0) | 2025.02.03 |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 (0) | 2025.02.02 |
[스크랩] [황승진의 AI칼럼] "세계가 딥시크 쇼크···이제는 우리 차례"(ZDNET Korea)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