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작자 : 강기봉(freekgb@gmail.com)
오픈소스 프로그램인 딥시크-R1(DeepSeek-R1)이 지난 2025년 1월 20일에 깃허브(github)와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 올라왔다. 이후 이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오픈AI-o1(OpenAI-o1)에 대응하여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인 주목을 받았다. 또한 딥시크-R1은 인공지능 관련 시스템 구축 및 개발에 필요한 비용 대비 효과 및 효율을 높였고, 이로 인해 인공지능 프로그램의 개발 활성화와 활용 범위 확대도 가능해졌다고 평가되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 인공지능 관련 기술 및 산업에 상당한 변화가 예상되었다. 아래 그림은 DeepSeek에서 제공한 딥시크-R1과 오픈AI-o1에 대한 벤치마킹 자료다. 이 벤치마킹 결과는 관련 산업계에 상당한 충격을 주기에 충분했다.
이미지 출처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blob/main/figures/benchmark.jpg
인공지능은 데이터 기반으로 훈련되고 이에 대응하는 결과물을 도출해 왔지만, 추론 능력이 추가되면서 인간과 같이 요구 사항에 더욱 적합한 결과물을 도출하여 제시하는 능력이 갖춰지게 되었다. 추론 능력이 발달할수록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되는 결과물은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여 요구에 대한 적정성이나 적합성 측면에서 그 수준이 높아진다. 그리고 이와 관련한 산업에도 그 활용의 양적 및 질적 범위와 깊이에 대응하여 영향을 미친다.
딥시크-R1은 깃허브(github)에 소개되어 있고 허깅페이스(Hugging Face)에서 소스코드가 제공되며 오픈AI와 마찬가지로 MIT License에 기초하여 이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DeepSeek-R1이 채용된 채팅은 아래 사이트에서 이용이 가능하다.
* 깃허브 DeepSeek-R1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
* 허깅페이스 DeepSeek-R1 : https://huggingface.co/deepseek-ai/DeepSeek-R1
* DeepSeek-R1 Chat : https://chat.deepseek.com/
* DeepSeek 홈페이지 : https://www.deepseek.com/
딥시크-R1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아래 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DeepSeek-R1 보고서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blob/main/DeepSeek_R1.pdf
이외에도 DeepSeek-V3, DeepSeek-VL2 등의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깃허브를 통해 공개되어 왔다. 이것들도 MIT License가 적용되지만, 모델에 대해서는 DEEPSEEK LICENSE가 적용된다.
* DeepSeek-V3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V3
* DeepSeek-VL2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VL2
한편, 오픈AI도 o3 소형 추론 모델이 출시될 예정이어서 향후에 두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경쟁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딥시크-R1의 개발 과정과 관련한 문제와 성능에 대한 회의론도 제기되고 있다.
* 관련 기사 : 김대영 기자, "中 딥시크, 딱 기다려"…오픈AI, 소형 추론 모델 출시, 한경, 2025.02.01 자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0166947
'SW와 과학기술 > 인공지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황승진의 AI칼럼] "세계가 딥시크 쇼크···이제는 우리 차례"(ZDNET Korea) (0) | 2025.02.01 |
---|---|
미국 저작권청, 저작권과 인공지능 보고서 파트 2 발간 (0) | 2025.01.30 |
AI 모창의 시대, 모창 가수는 종말을 맞을까? (0) | 2023.12.07 |
EPO 법률심판부, 인공지능은 특허출원서에 발명자로 기재될 수 없다. (0) | 2021.12.30 |
호주 지식재산청, 인공지능 발명자 인정 판결에 항소 (0) | 2021.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