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529건

  1. 2021.06.13 [한양법학 제31권 제3호]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의 튜닝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등재지)
  2. 2021.06.13 [한양법학 제32권 제2호] 디지털 포용에 관한 연구(등재지)
  3. 2021.06.13 [계간 저작권 제34권 제1호]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 고시에 관한 연구(등재지)
728x90

강기봉,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의 튜닝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한양법학」, 제31권 제3호, 한양법학회, 2020.8, 145~168면.

 

[목차] 

. 서 론

. ECUECU 튜닝의 의의와 고려사항

. ECU 튜닝에 관한 법정책적 검토

. 결 론

 

[초록]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a vehicle is a kind of computer, that is, an embedded system, which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vehicle. Accordingly, changing or manipulating ECU software can affect the vehicle's functions, operation and data. ECU tuning also meets the needs of car users who want to drive their cars in a better environment. ECUs are parts of automobiles, but legal discussions are necessary across various legal fields because they are computer systems. The normal operation of the ECU is important for safety, security, personal information, privacy,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o this paper looks at what ECU and ECU tuning mean to do a legal policy review of ECU tuning, discusses some of the considerations related to allowing ECU tuning, and then looks at some of the laws surrounding ECU tuning to discuss legal issues. ECU tuning is related to various laws regarding the software of the ECU, and ECU tuning may be restricted or allowed by these laws. ECU tuning has the social problems that arise from it, but the interest of automobile users is also very important. It is true that ECU tuning is a situation in which socially problematic situations are being documented, but It doesn't seem to be the situation that it can be completely forbidden in that it is performed in various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automobiles or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users, including tune-up tuning of automobiles. Therefore, an appropriate level of regulation may be required for ECU tuning, and it is necessary to limit certain actions at the appropriate level while avoiding unnecessary regulation. And technical and policy measures related to the security of the ECU system must be prepared. In addition, in terms of intellectual property,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operate restrictions or exceptions on copyrights in polic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CU-related technologies, but not to excessively limit the interests of users for software having characteristics of copyrighted works.

 

KCI 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24158 

 

자동차 전자제어장치(ECU)의 튜닝에 관한 법정책적 소고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of a vehicle is a kind of computer, that is, an embedded system, which i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a vehicle. Accordingly, changing or manipulating ECU software can affect the vehicle's functions, operation and data.

www.kci.go.kr

 

원문 URL (회원가입 필요) : https://www.hanyanglaw.or.kr/

반응형
728x90

강기봉, "디지털 포용에 관한 연구", 한양법학 제32권 제2호, 한양법학회, 2021.05,149~179면.

 

[목차]

. 서 론

. 디지털 기술, 격차 및 역량

. 디지털 포용

. 결 론

 

[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umans can share information through networks on a daily basi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led to the inundation of information and wide sharing. However, in such a digital environment, those who cannot access or use computers and the Internet have become lagging behind in social trends and at a disadvantage in obtaining and using information. And with the advancement of digitalization of society, this problem is inevitably intensified, and in this environment, serious social inequality and a growing gap between the haves and the have-nots are feared to become stuck.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olution to this problem in a digital environment. And, concepts emerging in this regard are digital divide,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inclusion. So, this paper looks at the digital technologies, digital gaps, and digital competencies that are the basis of the discussion in Chapter 2. And in Chapter 3, the concept, necessity, content, and related laws and policies of digital inclusion were examined. The abilities requir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have changed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and it wa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for people, especially the underprivileged, to properly utilize the digital environment. Therefore, digital inclusion is an effort to ensure that all people, especially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use the digital environment appropriately so that social problems in the digital society can be solved. In order to achieve digital inclusion under this premise, appropriate national laws and policies are needed so that citizens can be able to make proper use of their digital capabilities in a digital environment where digital divides arise.

 

KCI 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21256 

 

디지털 포용에 관한 연구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humans can share information through networks on a daily basi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communication devices have led to the inundation of information and w

www.kci.go.kr

원문 URL (회원가입 필요) : https://www.hanyanglaw.or.kr/

 

반응형
728x90

강기봉,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 고시에 관한 연구", 계간 저작권, 제34권 제1호(2021년 봄호), 한국저작권위원회, 2021.03.31., 63~116면.

 

[목차]

Ⅰ. 서론
Ⅱ. 국내외 예외 설정의 현황
 1. 미국
 2. 싱가포르
 3. 호주
 4. 한국
Ⅲ. 미개정 고시 규정
 1. 컴퓨터프로그램: 잠금해제 - 상호운용성
 2. 컴퓨터프로그램저작물: 보안 연구
Ⅳ. 개정 고시 규정
 1. 영상저작물: 비평과 논평
 2. 어문저작물: 시각장애인 보조기술
 3. 컴퓨터프로그램: 탈옥 - 상호운용성
 4. 컴퓨터프로그램: 3D 프린팅 - 상호운용성
 5. 컴퓨터프로그램: 차량 기능의 진단, 수리, 개조 등
Ⅴ. 신설 고시 규정

 1. 영상저작물: 장애인의 접근성
 2. 컴퓨터프로그램: 소프트웨어의 보존
 3. 컴퓨터프로그램: 비디오게임의 플레이와 보존
 4. 기타: 부착・이식된 의료기기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Ⅵ. 결론

 

[초록]

한국,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의 국가들은 저작권법에 기술적 보호조치를 보호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그런데 디지털화된 저작물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기술적 보호조치가 저작권 보호를 위해 필수적임에도, 이용자가 저작물에 접근하는 것을 기술적 보호조치에 의해 원천적으로 봉쇄하는 것은 이용자의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에 상당한 제약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각국은 일정한 사유에 따라 특정한 저작물에 적용된 기술적 보호조치를 무력화하는 행위를 허용하는 규정들을 위 규정과 함께 마련하였다. 제104조의2 제1항 각호는 접근통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의 예외를 규정하고, 동항 제8호는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의하여 특정 종류의 저작물등을 정당하게 이용하는 것이 불합리하게 영향을 받거나 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인정되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절차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이 경우 그 예외의 효력은 3년으로 한다.”고 규정하여 문화체육관광부장관이 고시를 통해 추가적인 예외를 시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문화체육관광부는 2012년 1월 31일에 첫 번째, 2015년 1월 31일에 두 번째 및 2018년 1월 31일에 세 번째 고시를 마련하여 시행하였고, 2021년 1월 31일에 네 번째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를 고시하였다. 이 논문은 미국, 호주 및 싱가포르의 예외 설정의 현황에 관하여 살펴보고, 2021년 1월 31일에 고시된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의 배경과 내용에 대해 검토하였다.

 

KCI URL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700131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 고시에 관한 연구

한국, 미국, 호주, 싱가포르 등의 국가들은 저작권법에 기술적 보호조치를 보호하는 규정을 마련하였다. 그런데 디지털화된 저작물을 이용하는 환경에서 기술적 보호조치가 저작권 보호를 위해

www.kci.go.kr

 

원문 한국저작권위원회 URL : https://www.copyright.or.kr/information-materials/publication/the-copyright/detailList.do?seq_no=134 

 

계간저작권 > 발간자료 > 자료 > 한국저작권위원

계간저작권(季刊著作權)권/호/통권 : 2021년 봄호, 제34권 제1호(통권 제133호) 계간저작권 발행호 정보 테이블 입니다. 발행처 한국저작권위원회 간기 계간 issn 1226-0967   ※ 원문보기가 안되실 경

www.copyright.or.kr

 

* 본 논문은 ‘강기봉(책임연구원),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 고시(안) 마련을
위한 연구, 한국저작권위원회(2020)’의 내용을 축약・수정・보완하고, “문화체육관광부, 기술적
보호조치의 무력화 금지에 대한 예외 고시, 문화체육관광부고시 제2021-5호, 2021.1.31.”을 반영
하여 작성한 것임을 밝힙니다.

반응형
1 ··· 123 124 125 126 127 128 129 ··· 177 

글 보관함

카운터

Total : / Today : / Yesterday :
get rss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