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509건

  1. 2022.01.18 발명의 특허대상적격성(명확성) 및 특허요건(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 판단방법
  2. 2022.01.17 [상표법 개정] 재심사들, 이름은 같은데 의미는 다르다.
  3. 2022.01.16 [상표법 개정]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행위를 상표의 사용에 포함
728x90

저작자 : 강기봉 freekgb@gmail.com

 

대법원은 발명의 발명의 특허대상적격성 및 진보성 판단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세 가지 기준에 기초하여 판결(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9후10296 판결)하였습니다.

 

 

□ 발명의 진보성 판단기준

 

발명의 진보성 유무를 판단할 때에는, 먼저 선행기술의 범위와 내용,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된 발명과 선행기술의 차이 및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수준에 대하여 기록에 나타난 증거 등 자료에 기초하여 파악하여야 한다. 

 

그런 다음 통상의 기술자가 특허출원 당시의 기술수준에 비추어,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된 발명이 선행기술과 차이가 있더라도 그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쉽게 발명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아야 한다

 

이때 진보성 판단의 대상이 된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을 알고 있음을 전제로 사후적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발명할 수 있는지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참조 및 본 판례: 대법원 2009. 11. 12. 선고 2007후3660 판결, 대법원 2018. 12. 13. 선고 2016후1840 판결,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9후10296 판결 등

 

 

□ 발명의 명확성 원칙 (특허대상적격성)

 

구 특허법(2008. 2. 29. 법률 제885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42조 제4항 제2호에서 특허출원의 청구범위는 발명이 명확하고 간결하게 적혀 있어야 하고, 제97조에서 특허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적혀 있는 사항에 의하여 정하여진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청구항에는 명확한 기재만이 허용되고, 발명의 구성을 불명료하게 표현하는 용어는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다

 

참조 및 본 판례: 대법원 2006. 11. 24. 선고 2003후2072 판결, 대법원 2014. 7. 24. 선고 2012후1613 판결,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9후10296 판결 등

 

또한 발명이 명확하게 적혀 있는지 여부는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설명이나 도면 등의 기재와 출원 당시의 기술상식을 고려하여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특허를 받고자 하는 발명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지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하고, 단순히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만을 기준으로 하여 일률적으로 판단하여서는 안 된다.

 

참조 및 본 판례: 대법원 2017. 4. 7. 선고 2014후1563 판결,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9후10296 판결

 

 

□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의 특허요건 판단기준

 

구 특허법 제2조 제3호는 발명을 ‘물건의 발명’, ‘방법의 발명’ 및 ‘물건을 생산하는 방법의 발명’으로 구분하고 있는바, 청구범위가 전체적으로 물건으로 기재되어 있으면서 그 제조방법의 기재를 포함하고 있는 발명(이하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이라 한다)의 경우 제조방법이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발명의 대상은 그 제조방법이 아니라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물건 자체이므로 위와 같은 발명의 유형 중 ‘물건의 발명’에 해당한다.

 

물건의 발명에 관한 청구범위는 발명의 대상인 물건의 구성을 특정하는 방식으로 기재되어야 하므로, 물건의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제조방법은 최종 생산물인 물건의 구조나 성질 등을 특정하는 하나의 수단으로서 그 의미를 가질 뿐이다.

 

따라서 제조방법이 기재된 물건발명의 특허요건을 판단함에 있어서 그 기술적 구성을 제조방법 자체로 한정하여 파악할 것이 아니라 제조방법의 기재를 포함하여 청구범위의 모든 기재에 의하여 특정되는 구조나 성질 등을 가지는 물건으로 파악하여 출원 전에 공지된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신규성, 진보성 등이 있는지 여부를 살펴야 한다.

 

참조 및 본 판례: 대법원 2015. 1. 22. 선고 2011후927 전원합의체 판결, 대법원 2021. 12. 30. 선고 2019후10296 판결

 

 

위의 내용들은 현행 특허법에 기초하여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 동일 판결의 다른 사안 : 2022.01.15 특허무효심판 심결취소소송의 사실심 변론종결 후의 정정심결은 재심사유가 될까?

반응형
728x90

저작자 : 강기봉 freekgb@gmail.com

 

2021년 10월 19일에 개정된 상표법([시행 2022. 4. 20.] [법률 제18502호, 2021. 10. 19., 일부개정])과 2022년 1월 11일에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상표법(2022. 01. 11., 일부개정, 2023년 1월 시행 예정)에서 재심사에 관한 규정들이 신설되었습니다.

 

 

□ 상표법 [시행 2022. 4. 20.] [법률 제18502호, 2021. 10. 19., 일부개정]

 

2022년 4월 20일에 시행되는 상표법의 개정된 내용 중에 심사관이 직권으로 재심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제68조의2에 따르면 심사관이 상표등록결정을 한 출원에 대하여 명백한 거절이유를 발견한 경우에 직권으로 상표등록결정을 취소하고 그 상표등록출원을 다시 심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아래와 같은 세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 개정안에 따르면, 이에 따라 하자 있는 출원상표의 등록을 방지하여 상표등록의 무효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고 합니다. 

  • 거절이유가 제38조제1항(1상표 1출원)에 해당하는 경우
  • 그 상표등록결정에 따라 상표권이 설정등록된 경우
  • 그 상표등록출원이 취하되거나 포기된 경우
제68조의2(상표등록결정 이후의 직권 재심사) ① 심사관은 상표등록결정을 한 출원에 대하여 명백한 거절이유를 발견한 경우에는 직권으로 상표등록결정을 취소하고 그 상표등록출원을 다시 심사(이하 "직권 재심사"라 한다)할 수 있다.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거절이유가 제38조제1항에 해당하는 경우
  2. 그 상표등록결정에 따라 상표권이 설정등록된 경우
  3. 그 상표등록출원이 취하되거나 포기된 경우
  ② 제1항에 따라 심사관이 직권 재심사를 하려면 상표등록결정을 취소한다는 사실을 출원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③ 출원인이 제2항에 따른 통지를 받기 전에 그 상표등록출원이 제1항제2호 또는 제3호에 해당하게 된 경우에는 상표등록결정의 취소는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본다.

 

 

□ 2022년 1월 11일 의결된 상표법(2022. 01. 11., 일부개정, 2023년 1월 시행 예정)

 

2022년 1월 11일에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상표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제안일 2022. 1. 10, 의안번호 2114345)에는 세 가지 내용이 있고 이 중에 '부분거절 제도'와 '재심사 청구제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이외의 사항은 2022.01.16 [상표법 개정]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행위를 상표의 사용에 포함 참조). 개정안에 따르면, ‘부분거절 제도’는 상표등록출원서에 기재된 지정상품 중 일부에 대해서만 거절이유가 있는 경우 나머지 지정상품은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이고, ‘재심사 청구제도’는 상표등록거절결정에 대한 거절이유를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경우에는 심판절차 외에 새로운 불복수단으로 도입한 것이라고 하며, 이것들은 출원인의 편의와 권리확보 기회를 확대하려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나. 상표등록출원에 대한 거절이유가 일부 지정상품에만 있는 경우 거절이유가 없는 나머지 지정상품에 대해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거절제도를 도입함(안 제54조ㆍ제57조ㆍ제68조ㆍ제87조ㆍ제116조 등). 
  다. 심사관의 상표등록거절결정 이후 지정상품 범위의 감축 등으로 그 거절이유를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심판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심사관에게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함(안 제55조의2 신설).

 

'재심사 청구제도'에 관한 규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제55조의2(재심사의 청구) ① 제54조에 따른 상표등록거절결정을 받은 자는 그 결정 등본을 송달받은 날부터 3개월(제17조제1항에 따라 제116조에 따른 기간이 연장된 경우에는 그 연장된 기간을 말한다) 이내에 지정상품 또는 상표를 보정하여 해당 상표등록출원에 관한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재심사를 청구할 때에 이미 재심사에 따른 거절결정이 있거나 제116조에 따른 심판청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② 상표등록출원인은 제1항에 따른 재심사의 청구와 함께 의견서를 제출할 수 있다.
  ③ 제1항에 따라 재심사가 청구된 경우 그 상표등록출원에 대하여 종전에 이루어진 상표등록거절결정은 취소된 것으로 본다. 다만, 재심사의 청구절차가 제18조제1항에 따라 무효로 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④ 제1항에 따른 재심사의 청구는 취하할 수 없다.

 

위의 '부분거절 제도'와 '재심사 청구제도'에 관한 규정들은 공포 후 1개월이 경과한 날(2023년 1월 중)부터 시행됩니다.

결과적으로, 상표법의 최근 개정에 의해 상표법에 심사관에 의한 직권 재심사와 상표등록거절결정을 받은 자의 재심사 청구에 의한 재심사의 두 가지가 포함되었습니다.

 

  - 법률안 원문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Z2J2K0Z1P0L5N1G3J1C1U1N9L3T1E1   

  - 대안반영폐기 의안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Y2V0C1E1S0N6M1R0R3H1B4W2V4U1G4 

반응형
728x90

저작자 : 강기봉 freekgb@gmail.com

 

2022년 1월 11일에 국회 본회의에서 의결된  상표법 일부개정법률안(대안)(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장, 제안일 2022. 1. 10, 의안번호 2114345)에는 아래의 세 가지 법률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아래 내용은 위 법률안의 내용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상품 또는 그 포장에 상표를 표시한 것을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하거나 이를 위해 전시ㆍ수출ㆍ수입하는 행위를 “상표의 사용” 행위에 포함시킴(안제2조제1항제11호나목).
  • 상표등록출원에 대한 거절이유가 일부 지정상품에만 있는 경우 거절이유가 없는 나머지 지정상품에 대해서는 상표등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부분거절제도를 도입함(안 제54조ㆍ제57조ㆍ제68조ㆍ제87조ㆍ제116조 등).
  • 심사관의 상표등록거절결정 이후 지정상품 범위의 감축 등으로 그 거절이유를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심판절차를 거칠 필요 없이 심사관에게 재심사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함(안 제55조의2 신설).
이 중에서 첫번째는 "최근 온라인상 상표를 표시하거나 온라인을 통해 일방적으로 다운로드하는 방식의 다양한 디지털 상품(Digital Goods)이 유통되고 있으나, 현행법상 “상표의 사용” 행위는 기존의 전통적 유형만을 규정하고 있어 이러한 시대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행위를 법률상 상표의 사용행위에 포섭하려는 것"이라고 합니다.

 

현 행 개 정 안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제2조(정의) ① ------------------------------------.
1. ∼ 10. (생 략) 1. ∼ 10. (현행과 같음)
11. “상표의 사용”이란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말한다. 11. ------------------------------------------------------.
가. (생 략) 가. (현행과 같음)
나.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표시한 것을 양도 또는 인도하거나 양도 또는 인도할 목적으로 전시ㆍ수출 또는 수입하는 행위 나. ----------------------------------- 양도ㆍ인도하거나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하는 행위 또는 이를 목적으로 전시하거나 수출·수입------
다. (생 략) 다. (현행과 같음)
② ∼ ④ (생 략) ② ∼ ④ (현행과 같음)
 
제2조 제1항 제11호에는 원래 아래와 같은 상표의 사용 행위들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표시하는 행위
  • 상품 또는 상품의 포장에 상표를 표시한 것을 양도 또는 인도하거나 양도 또는 인도할 목적으로 전시ㆍ수출 또는 수입하는 행위
  • 상품에 관한 광고ㆍ정가표(定價表)ㆍ거래서류, 그 밖의 수단에 상표를 표시하고 전시하거나 널리 알리는 행위
그리고 제2조 제2항에는 아래와 같이 표시하는 행위도 제2조 제1항 제11호의 각 목에 포함된다고 규정합니다.
 
  • 표장의 형상이나 소리 또는 냄새로 상표를 표시하는 행위
  •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에 전자적 방법으로 표시하는 행위

 

따라서 위 규정에 따르면,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에 전자적 방법으로 표시하는 행위"에 이미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만, 제2조 제1항 제11호의 '상표의 사용'의 정의는 전통적 유형만을 규정하고 있어 명확하게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행위"를 의미한다고 보기 어려웠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개정은 '상표의 사용'에 명확하게 "디지털 상품의 온라인 유통행위"를 포함시켜서 시대적인 변화에 부응하여 상표의 개념을 확대하였습니다.  

 

이 규정은 이번에 입법된 다른 규정들과 달리 공포 후 6개월이 경과한 날(2022년 7월 중)부터 시행됩니다.

 

  - 법률안 원문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Z2J2K0Z1P0L5N1G3J1C1U1N9L3T1E1   

  - 대안반영폐기 의안 : https://likms.assembly.go.kr/bill/billDetail.do?billId=PRC_C2F1P0O4W1M5C0I9O2S0G5J1F8Y5S0 

반응형
1 ··· 40 41 42 43 44 45 46 ··· 170 

글 보관함

카운터

Total : / Today : / Yesterday :
get rsstistory!